Programming

; develop a program

반응형

DataBase/DB 지식 3

[DB 지식] 레디스(Redis)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중 하나인 레디스(Redis)에 대하여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레디스(Redis)란 레디스(Redis)는 인 메모리 데이터 스토어(in-memory data store)로서 널리 사용되는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디스크에 유지하는 전통적인 디스크 기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는 다른 방식으로 동작한다. 특징 메모리 기반 데이터 스토어 레디스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빠른 읽기와 쓰기 속도를 제공한다. 이는 디스크 기반 데이터베이스에 비해 뛰어난 성능을 제공한다. 키-값 저장소 레디스는 단순한 키와 값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간단한 구조는 데이터 액세스를 빠르고 효율적..

DataBase/DB 지식 2023.07.01

[DB 지식] 저장 프로시저(Stored PROCEDURE)

이번 포스팅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개체인 저장 프로시저(Stored Procedure)에 대하여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저장 프로시저란 저장 프로시저(Stored Procedure)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개체로, 일련의 SQL 문을 하나의 논리적인 단위로 묶어서 실행하는 저장된 프로그램을 말한다. 저장 프로시저는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정의되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되어 실행된다. 여러 개의 SQL 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조건부 논리, 반복문, 예외 처리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구조를 지원한다. 저장 프로시저의 작동 방식 저장 프로시저 정의 CREATE PROCEDURE 문을 사용하여 저장 프로시저를 데이터베이스에 정의한다..

DataBase/DB 지식 2023.06.25

[DB 지식] 트랜잭션(Transaction)

이번 포스팅에서는 컴퓨터 과학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중요한 개념인 트랜잭션(Transaction)에 대하여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트랜잭션이란 트랜잭션이란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변경하는 작업 단위를 의미한다. 보통은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변경하는 작업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서 처리하며, 이러한 단계를 트랜잭션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은행 계좌 이체를 예로 들면, 계좌 A에서 일정 금액을 출금하고, 계좌 B로 동일한 금액을 입금하는 두 개의 연산이 포함된 트랜잭션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연산들은 모두 한꺼번에 실행되거나 아예 실행되지 않아야 한다. 트랜잭션은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트랜잭션의 상태 트랜잭션은 다양한 상태를 가지며, 각 상태는 트랜잭션의 실행 단계와 관련..

DataBase/DB 지식 2023.06.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