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

; develop a program

반응형

코딩 15

갯바위... 부트캠프.. (Good Bye 라는 뜻)

올해 5월부터 11월까지 6개월 정도의 부트 캠프를 다니고 수료했다. 코딩의 코자도 모르는 비전공자다 보니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는데, 나와 비슷한 생각을 하거나 상황인 사람들에게 내 경험을 말하고 싶었고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해서 공유해 보려고 한다. 부트캠프를 선택한 이유? 막상 공부를 시작하자니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몰랐다. 무작정 시작하기에 앞서서 인터넷 검색을 해봤는데 독학으로 공부하는 사람들만큼 부트 캠프에 다니는 사람들도 있어서 고민이 되었다. 개인마다 선호하는 공부 방법이 있지만 생각해 본 결과 2가지 이유로 부트 캠프를 다니게 되었다. 원동력 나는 무언가에 관심이 생기면 자세하게 알아보고 구체적인 계획까지 세세하게 세우는 편이다. 그러나 시작과는 다르게 의지도 점점 약해지고 흥미가 ..

Daily/Blog 2022.11.17

[Python] 모듈(Module)과 패키지(Package)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모듈(Module)과 패키지(Package)에 대하여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모듈(Module) 모듈은 독립적인 기능을 가지고 재사용 가능한 프로그램 단위를 말한다. 함수나 변수 또는 클래스를 모아 놓은 파일이라고도 할 수 있다. 파이썬에서 모듈은 재사용 가능한 함수, 클래스 등을 작성한 소스 파일을 말한다. .py 로 저장한 하나의 파일이 하나의 모듈이 된다. 소스파일에 저장된 함수나 클래스들을 다른 python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다. 모듈은 라이브러리로 볼 수 있다. 모듈의 종류 파이썬에 내장된 모듈을 표준 모듈이라고 한다. 특정 개발업체나 개발자들이 만들어 배포하는 모듈을 3rd Party 모듈이라고 한다. 개발자가 재사용을 위해 직접 만든 모듈을 사용자 작성 모듈..

Back-End/Python 2022.09.29

[Python] 정보 은닉(Information Hiding)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정보은닉(Information Hiding)에 대하여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정보 은닉(Information Hiding) 정보 은닉은 객체가 가진 instance 변수나 메소드를 다른 곳에서 호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데이터 보호가 주목적이며, instance 변수의 값을 직접 변경하지 못하게 하고 메소드를 통해 변경, 조회하도록 만든다. C++, Java 등은 접근 제한자를 이용해 처리하는데 파이썬은 접근 제한자가 없다. 그래서 파이썬은 원칙적으로 접근 제한을 막는 방법이 없다. 정보 은닉 처리 방법 instance 변수 이름을 __ (double underscore)로 시작하고 __ 는 앞에만 붙인다. (뒤에 붙이면 안 됨) ex) self.__name = na..

Back-End/Python 2022.09.27

[Python] 일급 (시민) 객체(first-class citizen)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일급 (시민) 객체(first-class citizen)에 대하여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일급 (시민) 객체(first-class citizen) 일급 (시민) 객체는 OPP에서 사용되는 개념 중 하나를 말한다. 대입 연산자를 이용해 변수에 대입, 호출할 때 인수로 사용, 함수의 리턴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함수도 값으로 사용된다는 것이다. 함수를 변수에 대입하는 경우 함수를 정의한다. def hello(): print("안녕") 정의한 함수를 호출한다. a = hello() print(a) [실행결과] 안녕 None 함수를 변수에 대입한다. my_hello = hello my_hello() your_hello = my_hello your_hello() [실행결과] 안녕..

Back-End/Python 2022.09.25

[Python] 함수의 매개변수(Parameter)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에서 함수의 매개변수(Parameter)에 대하여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아래의 글을 먼저 보고 오면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2022.09.24 - [Python/파이썬 기초] - [Python] 함수(Function) 정의 및 호출 기본 [Python] 함수(Function) 정의 및 호출 기본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함수(Function)에 대하여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함수(Function) 함수는 하나의 작업, 기능, 동작을 처리하기 위한 명령문들의 묶음이라고 할 수 있다. 함수를 사용하면 c11oud.tistory.com 매개변수(Parameter) 매개변수는 선언부에 선언하는 변수로 호출할 때 전달된 인수를 저장하는 변수를 말한다. 0 ~ N 개 선언이 가..

Back-End/Python 2022.09.25

[Python] 함수(Function) 정의 및 호출 기본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함수(Function)에 대하여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함수(Function) 함수는 하나의 작업, 기능, 동작을 처리하기 위한 명령문들의 묶음이라고 할 수 있다. 함수를 사용하면 중복적인 코드의 작성을 최소화하고,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여준다. 함수를 만드는 것을 함수 정의라 하고, 정의된 함수를 사용하는 것을 함수 호출(call)이라고 한다. 파이썬에서 함수는 일급 시민 객체(First Class Citizen Object)이다. ▪ 일급 객체 변수에 할당할 수 있고, 인수로 전달할 수 있고, 반환 값으로 반환할 수 있는 객체를 말한다. 인수(arguments) 란 함수를 호출할 때 함수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데이터를 말한다. 함수 정의 함수는 선언부(Heade..

Back-End/Python 2022.09.24

[Python] 제어문 - 반복문(iteration statements)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3가지 제어문 중 하나인 반복문(iteration statements)에 대하여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반복문(iteration statements) 반복문은 프로그램 내에서 똑같은 명령을 일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제어해 주는 명령문을 의미한다. 반복문은 특정 조건이 True인 동안 명령문을 반복해서 실행하는 while 문과 Iterable 한 객체가 값이 없을 때까지 반복 조회하는 for in으로 구분할 수 있다. Iterable 한 객체란 반복 가능한 객체를 말하며 for in 문을 이용해 원소들을 조회할 수 있는 객체를 의미한다. 자료구조들, 문자열이 대표적인 Iterable 객체이다. while 문 while 문은 파이썬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반복문이..

Back-End/Python 2022.09.22

[Python] 제어문 - 조건문(Condition Statements)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3가지 제어문 중 하나인 조건문(Condition Statements)에 대하여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조건문(Condition Statements) 조건문은 주어진 조건식의 결과(True/False)에 따라 다른 명령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명령문을 의미한다. 프로그램이 명령문들을 실행하는 도중 특정 순서에서 흐름의 나눠져야 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조건문을 만들 때에는 조건문 다음에 반드시 콜론(:)을 붙여야 하고 if 조건문: 바로 아래 문장부터 if 문에 속하는 모든 문장에 들여 쓰기(indentation)를 해주어야 한다. if 문 if 문의 기본구조 조건은 bool 결과가 들어오고, 조건 선언 다음에 ' : '으로 선언과 코드 블록을 구분한다. 조건이 ..

Back-End/Python 2022.09.21

[Python] 파이썬 - 제어문(Control Statement)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제어문(Control Statement)에 대하여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아래의 글을 먼저 보고 오면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2022.09.15 - [Python/파이썬 기초] - [Python] 데이터 타입 (Data Type) - 논리형(Boolean) [Python] 데이터 타입 (Data Type) - 논리형(Boolean)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3가지 데이터 타입 (Data Type) 중 논리형(Boolean)에 대하여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논리형(Boolean) 참(True)과 거짓(False) 중 한 가지만 가질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을 논리형(B c11oud.tistory.com 제어문(Control Statement) 제어문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Back-End/Python 2022.09.21

[Python] 자료구조 - Set(집합)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4가지 자료구조 중 하나인 Set(집합)에 대하여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Set(집합) 세트는 중복되는 원소 없이, 순서에 상관없이 저장하는 자료구조다. 각 원소들의 순서를 매길 수 없으며, 중복된 값 또한 허용하지 않는다. Set 생성 세트는 중괄호({ })로 사용하여 생성하며, 세트 안의 원소(element)들은 쉼표(,)로 구분한다. 파이썬 내장 함수인 set( ) 함수를 사용하면 문자열과 같이 순환할 수 있는 객체를 세트로 변환할 수 있다. ex) {값, 값, 값} Set은 인덱싱(Indexing)과 슬라이싱(Slicing)을 지원하지 않는다. 예제 순서 1. 세트를 생성한다. (같은 데이터 타입, 중복 허용 x) 순서 2. 세트를 생성한다. (다른 데이터 타입, 중복 ..

Back-End/Python 2022.09.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