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일 전송을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 중 하나인 FTP(파일 전송 프로토콜) 프로그램에 대하여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FTP 프로그램란
FTP(파일 전송 프로토콜)는 인터넷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FTP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따르며,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된다.
사용하기 쉽고 안정적인 FTP 기능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FTP 프로그램으로는 FileZilla, WinSCP, Cyberduck 이 있다.
- FTP는 제어연결(Control Connection)과 데이터연결(Data Connection)로 구분할 수 있다.
- FTP 제어연결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명령과 서버의 응답을 위한 연결을 의미한다.
포트번호는 21번을 사용하고 명령 또는 응답 형태의 제어정보를 전송한다. - FTP 데이터연결은 파일이 전송될 때 생성되는 데이터 연결을 말한다.
포트번호는 20번 혹은 1024 이후 번호 포트를 사용한다. - 각각의 파일 전송 때마다 설정되면 전송이 완료되고 데이터연결은 전송됩니다.
특징
- 파일 전송
FTP는 파일을 안전하게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파일을 원격 서버로 업로드하거나 원격 서버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 디렉터리 탐색
FTP는 서버의 디렉터리 구조를 탐색하여 파일 및 디렉터리를 관리할 수 있다. - 익명 FTP
FTP에는 익명 FTP라는 기능이 있다.
익명 FTP를 사용하면 클라이언트가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 없이 서버에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파일 공유와 같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작동 방식
- FTP는 명령-응답 프로토콜로 작동한다.
-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명령을 보내고, 서버는 해당 명령에 대한 응답을 반환한다.
-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로그인하고 디렉터리를 탐색하여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FTP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제공하여 서버에 로그인한다.
장단점
장점
- 파일 전송이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높다.
-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사용 가능한 널리 알려진 프로토콜
- 디렉터리 탐색과 파일 관리에 편리한 기능을 제공한다
단점
- 보안 취약점: 기본 FTP는 암호화되지 않으므로 데이터 전송 중에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대역폭 제한: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대역폭 제한이 있을 수 있다.
- 공유 방식: 기본적으로 FTP는 익명 FTP를 통해 파일 공유를 지원하기 때문에 보안상의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
반응형
'Dev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모뎀(Modem) (0) | 2023.06.21 |
---|---|
[Network] MQTT & MBTT (0) | 2023.06.20 |
[Network] CDN(Content Delivery Network) (0) | 2023.06.10 |
[WEB] 크로미움(Chromium) (0) | 2023.06.08 |
[WEB] CLI와 WEB의 작동방식 차이 (0) | 2023.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