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데이터 타입 변환 함수에 대하여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데이터 타입 변환 함수
데이터 타입 변환 함수는 말 그대로 데이터의 타입을 바꾸는 것으로, 데이터 타입 변환은 묵시적 형 변환과 명시적 형 변환으로 나누어진다.
데이터 타입을 정수로 변환할 경우 int(값)을 사용하며, 실수의 경우 소수점 이하를 버린다.
int(5.32), int('230')
int('50.123')
[실행결과]
(5, 230)
Error 발생 => 정수형태의 문자열일 경우만 가능
데이터 타입을 실수로 변환할 경우 float(값)을 사용한다.
float(30)
float('50.123')
float('40.7')
[실행결과]
30.0
50.123
40.7
데이터 타입을 문자열로 변환할 경우 str(값)을 사용하며, 모든 타입의 값을 문자열로 변환한다.
str(10)
str(20.5)
str(True)
[실행결과]
'10'
'20.5'
'True'
데이터 타입을 논리값으로 변환할 경우 bool(값)을 사용하며, 변환 기준에 따라 True/False로 값을 지정한다.
숫자 : 0 – False
음수, 양수 – True
문자열 '0글자' – False
한 글자 이상 – True
None : False
bool(1)
bool('a')
bool(None)
[실행결과]
True
True
False
묵시적 형 변환
묵시적 형 변환은 자동으로 변수의 형태를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정수와 실수를 더하는 경우 정수를 실수로 변환한 뒤에 연산을 한다.
숫자와 bool 결과값을 더하는 경우에는 bool을 숫자로 변환한다. True: 1, False:0
예제 1
순서 1. int 타입과 float 타입으로 변수를 선언한다.
순서 2. 두 변수를 연산하고 데이터 타입을 확인한다.
a = 5
b = 7.2
a+b
type(a+b)
[실행결과]
12.2
float
예제 2
숫자와 bool 값을 연산(더하기)한다.
10 + True
10 + False
[실행결과]
11
10
명시적 형 변환
명시적 형 변환은 사용자가 직접 형태를 변경할 것을 지시하여 형태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하며 변환 함수를 사용한다.
ex) int( ), float( ), bool( ), str( )
문자열과 숫자는 산술 연산을 할 수 없고 숫자 타입으로 변환 후 산술 연산을 실행한다.
문자열은 더하기 연산만 가능하다.
문자열 + 문자열: concatenate 문자열 이어 붙이기, 실수 형태의 문자열은 int(정수)로 변환이 안된다.
예제 1
순서 1. 문자열과 정수를 연산할 때 문자열을 정수 타이로 변환한다.
순서 2. 문자열을 실수로 변환한다.
float("30.23") + 10.2
float("30")
[실행결과]
40.43
30.0
'Back-End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자료구조 - List(리스트) (0) | 2022.09.18 |
---|---|
[Python] 파이썬 자료구조 (0) | 2022.09.18 |
[Python] 문자열 형식화(formatting) (0) | 2022.09.17 |
[Python] 문자열 인덱싱(Indexing) 과 슬라이싱(Slicing) (0) | 2022.09.16 |
[Python] 데이터 타입 (Data Type) - 문자형(String) (0) | 2022.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