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자료구조에 대하여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자료구조
자료구조는 정수형, 실수형, 문자열 등의 데이터가 여러 개 있을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파이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료구조는 리스트, 튜플, 사전이며 이 세 가지 자료구조는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할 때 자주 사용되므로 반드시 익혀 두어야 한다.
여러 개의 값들을 모아서 관리하는 데이터 타입
한 개의 변수는 한 개의 값 밖에는 가지지 못한다.
그러나 회원들의 주소, 파는 물건들의 재고량처럼 하나의 변수로 여러 개의 값을 관리해야 할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자료구조를 사용한다.
데이터를 모아서 관리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
List: 순서가 있으며 중복을 허용하고 구성하는 값들을 변경할 수 있다.
Tuple: 순서가 있으며 중복을 허용하는데 구성하는 값들을 변경할 수 없다.
Dictionary: key-value 형
Set: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값들의 순서가 없다.
자료구조 구성
원소, 성분, 요소, element는 자료구조의 값들을 구성하는 개별 값들이다.
len(자료구조)
자료구조 내의 원소의 개수를 반환한다.
반응형
'Back-End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자료구조 - Tuple(튜플) (0) | 2022.09.19 |
---|---|
[Python] 자료구조 - List(리스트) (0) | 2022.09.18 |
[Python] 데이터 타입 변환 함수 (0) | 2022.09.17 |
[Python] 문자열 형식화(formatting) (0) | 2022.09.17 |
[Python] 문자열 인덱싱(Indexing) 과 슬라이싱(Slicing) (0) | 2022.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