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

; develop a program

Back-End/Python

[Python] 데이터 타입 (Data Type) - 숫자형 (numeric)

Clloud_ 2022. 9. 15. 08:43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3가지 데이터 타입 (Data Type) 중 숫자형 (numeric)에 대하여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숫자형 (numeric)

숫자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 값들을 저장하는 변수를 숫자형 변수라고 한다.

 

숫자형 변수는 크게 정수형실수형으로 나누어진다.

숫자형 변수나 상수끼리의 연산은 수학의 사칙연산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정수형(int)

정수형이란 소수점이 없는 숫자형 데이터를 말한다.

자연수와 음의 정수, 0을 모두 포함한다.

 

정수형끼리의 계산은 항상 정수형으로 반환된다.

ex) 10, 20, -1, -20, 0 등

 


실수형(float)

실수형이란 소수점이 존재하는 숫자형 데이터를 말한다.

1은 정수형 데이터고, 1.2는 실수형 데이터다.

 

실수형끼리의 계산과 정수형과 실수형의 계산은 항상 실수형으로 반환된다.

실수 : 20.1, 0.123411, 15.2321598

 


산술 연산자

연산자 설명
+ 더하기
- 빼기
* 곱하기
** 제곱
/ 나누기
// 나누기 몫
% 나머지

 

정수부나 실수부에 0만 있을 경우 생략이 가능하다. (. 은 생략하면 안 된다.)

print(0.5, .5)	 	# 0.5 0.5
print(20.0, 20.) 	# 20.0 20.0

 

제곱 연산

2**10		# 1024
10**5		# 100000

 

나누기

10 / 4		# 2.5

 

몫 연산자

10 // 4		# 2

 

나머지 연산자

10 % 3		# 1

 

3의 배수인지??

num = 32
num % 3		# 2 -> 3의 배수x

 

16진수 표기 (출력 시 10진수로 변환돼서 출력)

print(0xAF23)		# 44835

 

8진수 표기 (숫자 0, 영문자 o)

print(0o15)		# 13

 

실수 - 지수 표기법

12345678000	  
1.2345478e10  

320		
3.2e2	

3.2e-2

 

[실행결과]

12345678000
1.2345678 * 10**10 = 12345478000.0

320
3.2*10**2 = 320.0

0.03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