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에서 변수의 정의와 변수 선언 및 대입에 대한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변수(Variable)
변수란 데이터를 담는 메모리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명령어를 처리하고 나면 결과를 따로 저장하지 않는데 이런 상황에서 변수를 사용하면 명령어를 처리하고 난 후에도 그 결과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변수는 값의 의미를 나타내는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변수에 특정 값을 지정하면 변수는 지정된 값으로 사용된다.
변수 선언 및 대입
변수명 = 값
변수는 반드시 선언하면서 값을 대입해야 한다.
처음 선언된 변수이면 변수 선언/ 초기화를 해야 한다.
값이 있는 변수일 경우 값 변경(대입)을 해야 한다.
변수 선언 시 대입할 값이 없을 경우 None 값을 대입해야 한다. (None -> java의 null)
변수 선언
a = 10
변수의 값을 변경
a = 20
print(a) # 20
변수 선언 시 대입할 값이 없는 경우
b = None
print(b) # None
여러 개 변수에 값을 동시에 대입
여러 개 변수에 서로 다른 값들을 대입
age1 = age2 = age3 = age4 = 0
print(age1,age2,age3,age4) # 0 0 0 0
여러 개 변수에 서로 다른 값들을 대입
name1, name2, name3 = "홍길동", "이순신", "유관순"
print(name1, name2, name3) # 홍길동 이순신 유관순
동적 타입 언어
변수의 데이터 타입이 선언 시점에 결정되어 하나의 타입의 값만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정적 타입 언어(Statically typed language)라고 한다.
변수 선언 시 데이터 타입을 지정하지 않고 실행 시 결정되어 하나의 변수에 다른 타입의 값들이 대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동적 타입 언어((Dynamic Typed Language)라고 한다.
하나의 변수에 2가지 타입의 값 대입
정수(int) 대입
나이 = 20
print(나이) # 20
문자열(string) 대입
나이 = "스무살"
print(나이) # 스무살
반응형
'Back-End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문자열 형식화(formatting) (0) | 2022.09.17 |
---|---|
[Python] 문자열 인덱싱(Indexing) 과 슬라이싱(Slicing) (0) | 2022.09.16 |
[Python] 데이터 타입 (Data Type) - 문자형(String) (0) | 2022.09.16 |
[Python] 데이터 타입 (Data Type) - 논리형(Boolean) (0) | 2022.09.15 |
[Python] 데이터 타입 (Data Type) - 숫자형 (numeric) (0) | 2022.09.15 |